📢 2023년도 이제 끝을 달려가고 있죠. 연말이 다가오며 여러 기관들에서 2024년 경기전망을 분석하는 보고서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건설업계가 올해 암울한 한 해를 보낸 만큼 내년 경기는 어떨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는데요. 금주 산군 인사이트에서는 국회예산정책처가 최근 발표한 ‘2024년 및 중기 경제전망 II’ 보고서를 중심으로 금융사와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의 보고서를 종합해 2024년의 건설업 경기전망이 어떨지 알아보겠습니다.
1. 2024년에도 건설업 전망은 여전히 ‘침체’?
한편,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을 비롯한 일각에서는 2024년 건설업 전망에 대해 부정적으로 예상했는데요. 건산연이 지난 3일 발표한 ‘건설동향브리핑 930호’에서는 2024년 건설수주가 전년 대비 1.5% 감소한 187.3조 원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우선 공공 부문의 수주는 4.6%로 증가하게 될 것이라고 보았는데요. SOC 예산이 증가했고, GTX 공사와 가덕도신공항 사업 등 대형 토목사업 추진의 영향입니다. 주택수주 또한 올해의 부진함으로 인한 기저효과와 정부의 공공주택 활성화 정책으로 전년 대비 증가를 예상했죠.
반면, 민간 부문은 4.0%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는데요. 하반기 물가 상승률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최근...
반면, 하반기 건축지표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2024년 건설업에 긍정적인 전망도 있었습니다.
우선 국회예산정책처에서는 지난 3월 2023년 건설업 부가가치 실적치에 대해 0%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이번에는 1.1%로 성장 예측치를 상향 조정했는데요. 다만 이는 상반기 부가가치 실적치가 5.2% 상승하며 예상 밖의 호조를 기록했음에도 건설수주와 건축허가면적 등이 감소하고 하반기 중 공공투자도 부진했던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국회예산정책처에서는 2024년의 건설업 경기전망에 대해서 긍정적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근 건설업 경기 관련 지표들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 7월 기준금리를 근 22년간 최고 수준인 5.5%로 상향 조정했죠. 게다가 아직 코로나19의 여파가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러-우 전쟁과 이-팔 사태가 연이어 터지며 세계 경제 상황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2024년 건설업계의 이정표를 제시했는데요.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손태홍 연구위원은 ‘2024년 건설산업 이슈와 대응방향’ 주제 발표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