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국내 건설경기가 악화되면서 건설사들이 해외에서 활로를 찾고 있다고 지난 인사이트에서 분석한 바 있죠. 이때 대형 건설사들 뿐만 아니라 중견 건설사와 건자재, 공공 분야에서도 해외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기관에서는 관련 정책을 마련하고 지원에 나서기도 했는데요. 금주 산군 인사이트에서는 건설업계의 해외 진출 현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건설사
1-1) 해외 진출 현황
올해 최대 규모의 해외 수주 프로젝트는 단연 현대건설의 사우디 ‘아미랄 프로젝트’일 것입니다. 50억 달러(약 6조5000억원)규모로 국내 기업의 역대 사우디 수주 공사 중 최대 금액, 전체 해외 수주 사업 중 7위에 해당하는 메가 프로젝트인데요. 원유 정제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기반으로 에틸렌과 고부가가치 화학물질 등을 생산하는 인프라를 건설하는 공사입니다.
3년 연속 해외수주 1위 자리를 유지중인 삼성물산은 총 1조원 규모 중 7500억원의 지분을 갖고 있는 대만의 ‘푸본 아오지디 복합개발 공사’를 수주했는데요. 이어 삼성전자의 미국 테일러 반도체공장 추가 공장도 수주하며 높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삼성물산 역시 사우디의 네옴시티 프로젝트와 카타르 태양광발전소 등 중동지역 대형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내년에 더욱 본격적인 성과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대우건설은...
건설사들의 적극적인 해외 시장 공략에 정부와 협회에서도 업계를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있는데요. 우선 국토교통부에서는 전략 외교와 건설사가 결합한 원팀코리아 결성을 통해 사우디, 인도네시아 등의 대규모 해외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죠. 산군에서도 원팀코리아에 선정되어 지난 3월 인도네시아 수주지원단 파견을 다녀오기도 했는데요. 인도네시아 산수도 이전 사업 등 대형 프로젝트를 논의하는 자리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피력했습니다. 이외에도 국토부에서는 해외건설 투자개발사업(PPP)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특성화대학을 모집하기도 했는데요. 국토부 관계자는 해외 건설시장에서 투자개발사업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중이기에 관련 교육과정을 개설·운영해 유능한 인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건설사들의 연이은 해외 수주 낭보에 올해 정부의 목표인 해외건설 수주액 350억 달러 달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현대건설의 ‘아미랄 프로젝트’와 같은 사우디 대형 프로젝트 수주에 힘입어 지난 10월 말 기준 해외수주 총액은 256억 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3.61% 증가했습니다.
이때 플랜트 부문에서의 수주실적 성장을 주목할 만한데요. 산업부에 따르면 올해 11월까지 해외 플랜트 수주실적은 234억달러로 지난해 동기간 대비 13%나 증가했습니다. 눈여겨볼 부분은 중동 지역에서의 플랜트 수주 실적이 203%나 폭등했다는 것이죠. 결과적으로...
건설사들 뿐만 아니라 건축자재 업계에서도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는데요. 지난 5월, 독일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 가구 기자재 전시회인 ‘인터줌(Interzum) 2023’에 LX하우시스, 현대L&C, KCC글라스 등 국내 주요 건자재 업체들이 모두 참가했습니다. 이렇게 특정 전시회에 국내 주요 업체가 전부 참석하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하는데요. 이번 전시회에서 3사는 가구 합판(MDF/PB) 표면에 적용하는 ‘가구용 필름’을 비롯한 다양한 전략 신제품을 전세계에 선보였습니다.
이들 3사의 해외진출 움직임은 최근 들어 더욱 활발해진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우선, LX하우시스는 최근 미국 뉴욕에 엔지니어드 스톤 전문 전시장인 ‘비아테라 쇼룸’을 열고 방문 고객이 주방상판 크기의 ‘비아테라’ 샘플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는 LX하우시스가 그간...
업계의 적극적인 노력에 협회와 정부도 지원에 나섰는데요. 대한건축자재협회는 지난 7월송도에 ‘365하우징페어’ 설립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협회에 따르면 ‘365하우징페어’는 연중 무휴로 운영되며 중소·전문회사의 국내 및 해외 판로에 대한 마케팅 지원을 비롯한 통역, 자금투자 등 다양한 업무지원이 진행될 계획입니다.
또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에서는 건축자재 수출기업의 유럽연합(EU)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10월 현지 인증기관 ‘Efectis’와 건축자재 유럽인증 심사 대행 및 시험성적서 상호 인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는데요. Efectis는 품질 시스템, 소방 및 건축자재 제품 시험인증 등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유럽 건축자재 수출기업들은 KTR 심사원의 인증심사를 거쳐 Efectis에 인증신청이 가능해졌습니다. 따라서 별도로 현지 기관에 인증심사를 거치지 않아도 되어 시간·비용 절감이 용이해졌죠. 뿐만 아니라 케이블 제품 및 화재반응성 시험 분야로 인증범위를 확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3) 해외 진출 성과
지난달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국내 주요 건설자재 업체의 3분기 실적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우선 LX하우시스는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은 5.4% 하락했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각각 130.9%, 164.6%로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LX하우시스의 이러한 호실적의 배경에는 폴리염화비닐(PVC) 등 주요 원재료 가격 하락과 건축용 고성능 단열재 판매 증대와 같은 해외사업의 수익성 개선 영향이 주효했다는 분석이 있었죠....
민간 기업 뿐만 아니라 한국전력공사 등 공공 분야에서도 해외 진출을 활발하게 시도하고 있는데요. 한국전력공사 산하 한전 kps는 지난 9월 850억원 규모의 남아공 발전소 정비공사를 수주하는데 성공했습니다. 남아공 전력공사 소유의 16개 발전소 정비를 10월부터 3년간 진행하는 계약으로, 4개 발전소의 경상정비 및 부품 가공정비 역무도 추가 수주하며 120억원의 매출을 더했죠. 또한, 성공적인 해외원전 수출을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는데요. 한국전력 김동철 사장은 지난달 16일 아랍에미리트에 방문해 행정청장과 UAE원자력공사 사장을 만나 한국과 아랍에미리트 간 원자력 및 에너지 분야에서의 지속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한편, 한국수력원자력은...